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4

[React] MUI의 useTheme와 useMediaQuery로 구현하는 반응형 웹 (feat. 그 외 방법) 업무 할 때  Material-UI(MUI)의 useTheme와 useMediaQuery를 사용하여 반응형 웹을 구현했었는데 그 부분을 조금 정리해보려 한다.useTheme 이란? MUI(Material-UI)에서 제공하는 훅으로, 현재 테마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테마는 색상, 간격 등 UI 요소의 스타일을 정의하며, MUI는 기본적으로 테마를 사용하여 UI 구성 요소의 스타일을 일관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이 훅을 사용하면 현재 테마에 정의된 색상, 타이포그래피, 간격 등의 스타일 속성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쉽게 커스터마이즈 할 수 있다.import { useTheme } from '@mui/material/styles';import React from 'react.. 2024. 10. 12.
[JAVA] 클래스 (Class), 객체 (Object), 인스턴스 (Instance), 변수 (Variable) 개념 정리 클래스 (Class)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이며 필드와 메서드로 구성되어 있다.필드(Field):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들을 말한다.메서드(Method):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 집합을 말한다.객체 (Object)클래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대상이며, 클래스에서 정의한 속성과 동작을 가진다.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도 불리며, 선언한 객체는 아직 메모리를 차지하지 않는다.인스턴스 (Instance)클래스를 통해 생성된 구체적인 실체이다. 인스턴스는 메모리에 할당되어 실제로 사용되는 객체를 의미한다.인스턴스는 특정 클래스의 객체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즉,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각각의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부른다.따라서, 인스턴스는 개념적으로 객체와 같거나, 객체의 구체적인 예시로 볼 수 있.. 2024. 10. 12.
Java에서 static을 사용하는 이유 Java에서 static을 사용하는 이유Java에서는 클래스가 기본 단위이며, 클래스 안에 변수(필드)와 메서드를 정의한다. 다른 곳에서 클래스의 변수나 메서드를 사용하려면 보통 new 클래스명();과 같은 방식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한다.하지만 클래스 안에 있는 메서드나 변수에 static을 붙이면, 이들을 전역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도 해당 메서드나 변수에 접근할 수 있다.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하면서, 공통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인스턴스란? : 클래스를 기반으로 생성된 실제 객체static의 주요 사용 목적1. 공유할 값이 있을 때: 클래스의 모든 인스턴스가 공유해야 하는 데이터를 만들고자 할 때 static 변수를 사용한다.// 예시: 코드에서 totalS.. 2024. 10. 12.
[JavaScript] 비동기 처리 (Axios, Promise, Fetch, Async/Await) 비동기 처리란? 비동기 처리(asynchronous processing)는 프로그램이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방식이다.비동기 처리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특정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비동기 처리 방식1.  Axios정의 Axios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로, 웹 브라우저와 Node.js 환경에서 HTTP 요청을 쉽게 보내고 받을 수 있게 도와준다.API와의 통신, 즉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거나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오는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용도API 호출: 외부 API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외부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한다.데이터 전송: 사용자 입력 데이터나 파일을 서버로 전송하는 작업에.. 2024. 10. 12.
.zshrc 로 DB 연결 정보 설정하고 application.properties에 적용 DB 연결 정보는 민감한 정보이기 때문에 환경 변수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나는 이번에 개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zshrc 파일을 사용해 간편하게 환경 변수 설정을 해주었다..zshrc 파일 이란 ? .zshrc는 Zsh(Z Shell) 셸의 설정 파일로,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위치한다.이 파일은 Zsh 셸의 환경 설정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며, 셸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실행된다.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변수, 별칭, 프롬프트 설정 등을 이 파일에 직접 편집하여 설정할 수 있다.설정한 환경 변수는 터미널을 열 때마다 자동으로 적용되므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환경 변수 설정 1. .zshrc 파일 열기Mac 터미널에서(경로 이동 없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 파일에 접.. 2024. 10. 11.
.gitignore 파일 생성(feat. Git에 추가되지 말아야 할 파일 정의) .gitignore 파일 이란?.gitignore 파일은 Git 저장소에서 무시할 파일과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이 파일을 사용하여 Git이 관리할 필요가 없는 파일들을 제외할 수 있다. .gitignore 파일의 용도1. 특정 파일 무시, 간편한 관리.gitignore 파일을 통해 특정 패턴에 맞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한 번에 무시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해진다.예를 들어 .log를 무시하면 모든 로그 파일을 자동으로 제외할 수 있다.2. 팀 간의 일관성 유지여러 개발자가 협업하는 프로젝트에서 .gitignore 파일을 사용하면, 모든 팀원이 동일한 파일을 무시하도록 할 수 있다.이는 프로젝트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다른 개발자에게 불필요한 파일이 커밋되는 것을 방지한다.3. 버전 관리의 명확성무.. 2024. 10.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