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54 HTTP와 HTTPS의 차이점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따라서 HTTP 서버가 80번 포트에서 요청을 기다리고 있으며, 클라이언트는 80번 포트로 요청을 보내게 된다🔥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HTTP over TLS, HTTP over SSL, HTTP Secure 등으로 불리는 HTTPS는 SSL을 사용하여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이다 HTTPS는 HTTP와 다르게 443.. 2024. 7. 13. 도메인과 URL 차이점 🔥 도메인 이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도메인은 바로 인터넷 주소이다 https://www.naver.com 여기에서 naver.com 이 부분이 도메인이다 IP 주소는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영문이나 한글로 된 인터넷 주소인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 도메인과 URL 차이점즉, URL 은 프로토콜 포함, 도메인은 미포함URL은 프로토콜, 이름, 확장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메인이 포함되어 있는 경로를 뜻한다도메인은 서브도메인(subdomain), 이름(name), 확장자(extension)로 보이고 있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예시 : https://www.naver.com도메인 예시 : www.naver.com ※ Referencehttps://www.keywo.. 2024. 7. 13. www 약자 www의 약자는 World Wide Web이다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 W3)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 세계적인 정보 공유 시스템을 말한다 ※ Reference https://ko.wikipedia.org/wiki/%EC%9B%94%EB%93%9C_%EC%99%80%EC%9D%B4%EB%93%9C_%EC%9B%B9 2024. 7. 13. 인터페이스(Interface)란? UI? API? 🔥 인터페이스(Interface)란?두 대상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매개체이다2개 이상의 장치나 소프트웨어 사이에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인터페이스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다🔥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차이 참고 : https://jerryjerryjerry.tistory.com/164하드웨어 Interface소프트웨어 Interface키보드, 모니터, 리모컨 ... 배달 앱, 음악 앱, 날씨 앱...🔥 UI(User Interface) 란?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종류 참고 : https://brunch.co.kr/@hnjnkm/7USER INTERFACE(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뜻하며 사용자가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 위한(사용.. 2024. 7. 13. 라이브러리(Library)와 프레임 워크(Framework) 차이 🔥 라이브러리(Library)란? 어떤 특정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진 함수들의 집합이며, 필요할 때만 자유롭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도구이다개발자가 만든 클래스들의 나열로, 다른 프로그램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방식이다라이브러리를 사용하더라도 프레임워크가 정한 방식에 따라야 하지만 이를 어떻게 사용할지는 개발자가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대표적인 라이브러리에는 'React' , 'jQuery' 등이 있다🔥 프레임 워크(Framework)란? 정해진 매뉴얼 룰을 제공하며 개발 시 필수적인 코드와 알고리즘 같은 기능을 제공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데 다만 정해진 가이드를 지켜야 한다클래스와 라이브러리가 합쳐진 구조이다대표적인 프레임워크에는 'Mybatis', 'Spring F.. 2024. 7. 13. DOM 이란? & React와 ReactDOM 차이 🔥 DOM 이란?문서객체모델(Document Object Model)이다문서 객체란? : 이나 같은 html문서의 태그들을 JavaScript가 이용할 수 있는 객체(object)로 만드는 것(HTML 문서를 객체화한 것)을 문서 객체라고 한다DOM은 HTML, XML 문서의 프로그래밍 interface이며, 개발자가 작성해 놓은 HTML문서를 브라우저가 해석해서 만들어 놓은 것이다쉽게 말하면 DOM은 Javascript로 html을 조작하기 위해 존재한다 그렇다고 해서 html을 직접 조작하는 것은 아니고, dom을 접근해 조작함으로써 html에 변화가 일어난다DOM 접근document.querySelector('title')DOM 조작document.querySelector('title').i.. 2024. 7. 13. 이전 1 ··· 5 6 7 8 9 10 11 ··· 26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