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34

자바스크립트[기초]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자바스크립트는 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선언하지 않는다. var, const, let 키워드를 사용해 변수를 선언하는 것뿐이다 자바스크립트의 변수의 타입은 변수 선언이 아닌 값의 할당에 의해 타입이 결정되는 동적 타입 언어이다. 변수의 타입은 재할당에 의해 언제든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데이터 타입이 필요한 이유 값을 저장할 때 확보해야 하는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값을 참조할 때 한 번에 읽어 들여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메모리에서 읽어 들인 2진수를 어떻게 해석할지 결정하기 위해 구분 데이터 타입 설명 원시 타입 number (숫자) 타입 숫자, 정수, 실수 구분 없이 하나의 숫자 타입만 존재 string(문자열) 타입 문자열 boolean(불리언) 타입.. 2022. 3. 12.
자바스크립트[기초] 값의 할당 과 재할당 ★ 변수 선언은 런타임 이전에 먼저 실행되지만 값의 할당은 런타임에 실행된다 값의 할당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는 연산자 = 를 사용해 우변의 값을 좌변의 변수에 할당한다. 값을 할당할 때는 변수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돼서 할당된 이전 값인 undefined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공간을 지우고 그 공간에 값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한 후 그곳에 할당 값을 저장한다 선언과 동시에 값을 할당해도 자바스크립트는 선언과 할당을 2개의 문으로 나눠 각각 실행하기 때문에 undefined가 할당되어 초기화 되는 것은 변함 없다 var a; //변수 선언 a = 30; // 값의 할당 var a = 30; // 변수 선언과 동시에 값을 할당 -----------------------------.. 2022. 3. 12.
자바스크립트[기초] 변수, 변수 선언, 변수 호이스팅 변수가 필요한 이유 컴퓨터는 CPU를 사용해 연산하고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기억하며 모든 데이터를 데이터 종류(숫자, 문자, 이미지..)와 상관없이 2진수로 저장한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집합체이며 셀 하나의 크기는 1바이트(8비트)이다 컴퓨터는 메모리의 셀 크기, 즉 1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 들인다. 연산이 가능하고 메모리에 저장되지만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재사용하고 싶을 때는 약간의 문제가 있다 재사용하려면 메모리 공간에 직접 접근밖에 답이 없는데 그건 오류를 발생시킬 수도 있고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개발자의 직접적인 메모리 제어는 허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값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가 필요하다 변수 란? 값을 참조하고 저장하는 공간이다. 변할 수 있는 수.. 2022. 3. 12.
자바스크립트[기초] 역슬래시 escape " " 큰 따옴표 , '' 작은따옴표 같은 특수문자를 문자열로 사용하고 싶다면 해당 문자 앞에 \ 역슬래시를 사용해 주어야 한다 아래의 코드 처럼 하면 마지막 '를 닫는 작은따옴표가 없기 때문에 문법 오류가 난다 alert('egoing's coding everybody'); 문자열로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의 코드 처럼 역슬래시를 사용해주면 된다 역슬래시 바로 뒤에 문자는 그냥 문자열로 치환 된다 alert('egiong\'s coding everybody'); 2022. 3.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