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34

자바스크립트[기초] Array 생성자 함수 ※ Array 생성자 함수는 전달된 인수의 개수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전달된 인수가 1개이고 숫자인 경우 length프로퍼티 값이 인수인 배열을 생성한다. const arr = new Array(10); // 배열의 크기를 정해준다 console.log(arr); // [empty * 10] console.log(arr.length); //10 전달된 인수가 없는 경우 빈 배열을 생성한다. 즉,배열 리터럴[]과 같다 new Array(); // [] 전달된 인수가 2개 이상이거나 숫자가 아닌 경우 인수를 요소로 갖는 배열을 생성한다. // 전달된 인수가 2개 이상이면 인수를 요소로 갖는 배열을 생성한다. new Array(1,2,3); // [1,2,3] // 전달된 인수가 1개지만.. 2022. 4. 18.
자바스크립트[기초] undefined 란 ? | 변수에 값이 없다는 것을 명시하고 싶을 때 ★ undefined 란? 자바스크립트는 변수를 선언하면 암묵적으로 undefined로 초기화된다 undefined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변수를 초기화할 때 사용하는 값이다. 변수를 참조 했을때 undefined가 반환된다면 변수 선언 이후 값이 할당된 적 없는, 즉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를 말한다 .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변수에 값이 없다는 것을 명시하고 싶을 때는 변수에 null을 할당해주면 된다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null은 변수에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명시할때 사용한다 var a = null; 2022. 4. 18.
자바스크립트[기초] 변수의 초기값 비교 undefined var x; //undefined 위에 코드처럼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암묵적으로 undefined 라는 값을 갖는다 [잘못된 비교] alert(x == "undefined") // false 아무것도 할당 하지않은 변수의 초기값을 비교할때 undefined는 문자열로 비교하면 안 된다. undefined는 문자열이 아니고 그냥 그 자체로도 특수한 값이다 그래서 비교할 때는 문자열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undefined로 비교해주어야 한다 [제대로 된 비교] alert(x == undefined) // true 2022. 4. 18.
자바스크립트[기초] 제어문 종류 와 특징 블록 문은 언제나 문의 종료를 의미하는 자체 종결 성을 갖기 때문에 블록 문 끝에는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Statements/for...in. [추가된 제어문들도 참고 하기] 제어문 종류 특징 조건문 if ~ else if 문의 조건식이 불리언 값이 아니면 암묵적 불리언 값으로 강제 변환 되어 실행할 코드 블록을 결정한다 * else if 문과 else 문은 옵션이여서 필요에 따라 사용 가능 하다 * if 와 else 문은 2번 이상 사용할수 없지만 else if문은 여러번 사용 가능하다 * 코드 블록 내의 문이 하나뿐이면 중괄호 생략 가능 * 조건의 결과 값이 참, 거짓 일때 자주 사용 .. 2022. 3. 13.
자바스크립트[기초] 연산자 우선순위, 연산자 결합 순서 연산자 우선순위 1 () 2 new(매개변수 존재), ., [](프로퍼티 접근), ()(함수 호출),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 3 new(매개변수 미존재) 4 x++, x-- 5 !x, +x, -x, ++x, --x, typeof, delete 6 **(이항 연산자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 7 *, /, % 8 +, - 9 =, in, instanceof 10 ==, !=, ===, !== 11 ??(null 병합 연산자) 12 && 13 || 14 ? ... : ... 15 할당 연산자(=, +=, -=, *=, /=, %=) 16 , 연산자 결합 순서 연산자의 어느 쪽부터 평가를 수행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순서 결합 순서 연산자 좌항 -> 우항 +, -, /, %, =, &&, ||, ., [.. 2022. 3. 13.
자바스크립트[기초] 연산자 종류 연산자 종류 더보기 var x =5, result; // 선할당 후증가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5 6 // 선증가 후할당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7 // 선할당 후감소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6 // 선감소 후할당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5 5 /* + - 단항 연산자 + 단항 연산자는 피연산자에 어떠한 효과도 없다 음수를 양수로 변환하지도 않는다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에 + 단항 연산자를 사용하면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해 반환 하지만 이때 피.. 2022. 3.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