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34

자바스크립트[기초] var | let | const 차이점과 var 를 쓰면 안되는 이유 var 동일한 변수로 중복 선언이 가능 function scope이다 호이스팅시 선언과 동시에 undefined가 초기화된다. block scope 가 아니기 때문에 block scope 안에 var로 선언을 해도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개발자의 의도와 다르게 변수 할당이 일어날 수 있고 위험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변수를 선언할 때는 let과 const를 사용해야 한다. 변수 Hoisting 현상에서 var는 function scope 이기 때문에 선언하기 전에 할당을 하거나 출력을 해도 에러가 나지 않고 undefined 돼버려서 예측하기 힘든 코드가 되어 버린다 function scope 란? 함수 내에서 선언된 변수는 함수 내에서만 유효하며.. 2022. 4. 25.
자바스크립트[기초] 마우스 커서의 좌표 구하기 https://api.jquery.com/event.pagex/ [참고] https://api.jquery.com/event.pagey/ [참고] https://tamagotch.tistory.com/44 [자바스크립트 마우스 이벤트 4가지 좌표 차이 참고] e.pageX : 브라우저상 마우스 커서의 x축 좌표 e.pageY : 브라우저상 마우스 커서의 y축 좌표 2022. 4. 21.
자바스크립트[기초] e.preventDefault()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Event/preventDefault [참고] e.preventDefault() 란? a 태그나 submit 태그들의 고유 동작들을 중단 시킨다. 페이지를 이동시킨다거나 form 안에 있는 input 등을 전송한다던가 그러한 동작이 있는데 e.preventDefault 는 그 동작을 중단시킨다. 그래서 만약 클릭 이벤트가 실행 됐을 때 페이지가 새로고침 되거나 이동하는 것을 막고 color를 바꾸는 등 다른 행위를 하고 싶을 때 e.preventDefault()를 사용해준다 2022. 4. 21.
자바스크립트[기초] e.stopPropagation()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Event/stopPropagation [참고] https://ko.javascript.info/bubbling-and-capturing [버블링& 캡처링에 대한 참고] event.stopPropagation() 란? 자식 노드에서 이벤트가 일어나면 부모 노드로 버블링 돼서 부모 노드도 같이 실행 되게 되는데 이때 부모 노드로 버블링 되는 것을 막고 자식 노드에서만 특정한 기능을 구현해야 할 때 부모 노드로 버블링 되는 것을 막는 e.stopPropagation() 이벤트 객체 기능이다 2022. 4. 21.
자바스크립트[기초] window 객체 속성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Window [window 객체 참고] Window.history 뒤로 가기/ 돌아가기 부분이고 브라우저의 세션 기록을 조작할 때 사용한다. Window.location url 부분이며 location 속성을 사용해 url 이동도 가능하다. Window.document 브라우저가 불러온 웹 페이지를 나타내며 document 속성들도 많이 가지고 있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Document 2022. 4. 19.
자바스크립트[기초] window 객체 .prompt() | .confirm()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Window/confirm [참고]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Window/prompt [참고] .prompt() 대화 상자를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고 싶을 때에는 window 객체의 .prompt() 를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입력한 모든 값은 모두 문자열로 전달되기 때문에 문자열이 아닌 number 타입이 필요하다면 입력받기 전 미리 parseInt를 사용해 미리 형 변환을 해주면 된다 .confirm() 사용자에게 어떤 경고창에 대해서 확인을 받고 싶을 때 window 객체의 .confirm() 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확인 or 취소를 선택할 수 있어 조건식을.. 2022. 4. 19.
728x90